시험을 치를 때 지나치게 긴장하는 것은 좋지 않지만 긴장을 전혀 하지 않는 것도 문제이다. 긴장감이 없다면 오히려 높은 성적을 기대하기 어렵다. 적당한 긴장감을 유지해야 집중력이 발휘되고 기억을 떠올리는 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객관식 문제와 주관식 문제는 어떻게 풀어야 할까? 각각의 요령이 따로 있다. 다음으로 문제 유형별 답지 적는 요령을 소개한다.
1. 약간의 긴장감을 유지하고 편안한 자세로 앉는다. 시험지를 받으면 전체 문제를 빨리 훑어보고 아는 문제와 모르는 문제를 대략 구분한다. 필요하면 문제지에 간단한 메모를 해둔다.
2. 틀린 답에는 확실하게 선을 그어 확실한 답을 고를 수 있게 한다.
3. 문제를 완전히 아는 문제, 대충 알 것 같은 문제, 헷갈리는 문제, 완전히 모르는 문제로 나눈다. 쉬운 문제부터 풀기 시작해 어려운 문제는 가장 나중에 푼다.
4. 완전히 아는 문제의 답을 다 적었으면 이제는 대충 알 것 같은 문제를 풀어 답을 시험지에 적어 놓는다.
5. 다음으로 헷갈리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풀면서 좀 전에 대충 알 것 같은 문제 중에 못 풀었던 문제를 풀기 시작한다. 가끔은 다른 문제에 단서가 숨어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문제를 읽을 때 다른 문제와의 연관성을 생각해 보는 것도 좋다.
6. 이제 완전히 모르는 문제에 도전한다. 전혀 모르는 문제가 나왔다면 왜 이 문제를 모르는지, 알기 위해서는 무엇을 공부해야 할지를 생각해보자.
7. 답을 고를 때 보통은 가장 먼저 선택한 답이 맞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으면 고치지 않는 것이 좋다.
◆ 중학교 수학 제대로 아는지 점검하라
먼저 자신이 중학교 수학을 얼마나 아는지 점검한다. 수학의 기초를 잡기 위해서는 중학교 1학년 교과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자존심 상한다 생각하지 말고 실천해 보자. 중학교 1학년 수학을 제대로 공부하고 가야 수학의 기초를 잡을 수 있다.
물론 중학교 교과서의 모든 부분이 필요하지는 않다. 각도를 계산하는 도형 문제들이나 도수분포표에 관한 단원들은 건너뛰어도 좋다. 그 외의 부분은 꼼꼼히 살펴보고 개념과 공식을 반드시 외우자.
◆ 문제집보다 교과서를 먼저 반복 학습하라
하위권 학생의 경우 문제집이나 기출문제를 푸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어렵고 난도 높은 문제보다는 교과서와 익힘책을 이용해 반복 학습을 하며 기초개념을 탄탄히 잡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수준별 학습서 중 가장 활용하기 좋은 것은 익힘책이다. 다른 학생들이 보고 있는 책이나 문제를 신경 쓰기보단 기본 유형 문제를 중점으로 문제 푸는 과정이나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교과서에 있는 공식들은 한 줄씩 꼼꼼히 읽어봐야 한다. 그래야 수학적 논리력을 기를 수 있다. 나와있는 예제와 유제, 그리고 연습문제들은 모두 풀어보길 바란다. 이것이 수학의 기초이다.
교과서를 보는 이유는 설명이 가장 풍부하고 논리적이기 때문이다. 읽어보기만 하더라도 논리력이 향상된다. 문제 또한 평이하고 분량이 적어 빠르게 끝낼 수 있다.
◆ 접근성이 좋은 문제집 한 권을 반복학습하라
새로운 문제집보다 쉽고 접근성이 좋은 문제집 한 권을 여러 번 반복해 내가 보기 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교재로 만드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다음 잘 만들어진 기출문제집을 통해 문제풀이를 해보면 큰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하나의 문제라도 본인의 힘으로 푸는 것이다. 인내심을 발휘해 끝까지 풀어보자. 그 문제 유형에 대해 오랜 기억할 수 있게 된다. 기초를 탄탄히 다지고 꾸준히 학습하면 놀라운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수학 과목이다.
공부하는 습관이 자리잡혔다면 이전보다 훨씬 편하게 공부할 수 있다. 하지만 전보다 나아졌을 뿐, 공부하는 것이 마냥 즐겁다는 학생은 드물 것이다. 따라서, 공부를 지속하기 위해 종종 나에게 주는 보상이 필요하다.
긴 수험생활을 하다보면 슬럼프는 피할 수 없는 난관이다. ‘나는 그렇지 않을 거야.’ 라고 생각해도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것이 슬럼프다. 이는 모두가 겪게 되는 문제이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중요한 것은, 슬럼프의 지속 기간이다. 여기서 성공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하는 사람이 갈리게 된다.
슬럼프 탈출법은 ['공부머신' 되는 7단계 공부법 ④작은 성공부터 시작하자]에서 알려준 작은 성공에 집중하는 것이다. 슬럼프가 오면 공부 목표량을 평소보다 줄여 그 목표를 달성해 내는 데만 집중하자.
대단한 깨달음과 동기부여로 슬럼프에서 탈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작은 목표더라도 최소한 오늘 해야 할 몫은 해냈다는 성취감이 있으면 슬럼프에서 빨리 빠져나올 수 있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완벽주의 성향이 강하다면 슬럼프에 오래 빠져있기 쉽다.